[Git] GitHub기본설정 및 Git Bash를 이용한 기본명령어

Git Bash 기본명령


사용이름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USER NAME"

사용자 이메일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email "USER EMAIL ADDRESS"

출력되는 명령어를 컬러로 설정하기(Git Bash에서 가독성 향상)
  git config --global color.ui auto

Git의 기본설정이 저장된 gitconfig 파일의 에디터 지정하기(아래의 예는 '메모장' 사용)
  git config --global core.editer "notepad.exe" 

gitconfig를 지정된 에디터로 열기 
  git config --global --edit 

GitBash상에서 gitconfig의 내용 확인하기 
  git config --global --list

리포지토리로 사용할 디렉토리를 만들고 리포지토리 초기화
  mkdir DIRECTORY_NAME
  cd DIRECTORY_NAME
  git initCD

git 리포지토리 상태확인
  git status // 리포지토리의 변경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음

스테이지에 파일 추가하기
  git 로컬 리포지토리 경로에 파일을 추가하고 다음의 명령어룰 수행
  git add FILE_NAME // 파일 이름은 확장자를 포함한 풀네임 입력

커밋하기 
  git commit /* 일반 커밋. 커밋후에 커멧메세지를 추가할 수 있는 에디터가 자동실행
                      에디터에 아무런 내용을 입력하지 않고 에디터를 종료하면 커밋되지 않음
                      에디터의 첫 번째줄에 커밋의 요약(제목)을 기술하고 2번째 줄을 공백으로
                      세 번째 줄부터 상세한 커밋내용을 기술한다.
                      이 양식을 지켜줘야 차후에 로그를 확인할 때 메세지의 요약내용만
                      확인하는 등의 편의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

  git commit -m "MESSAGES"  // 간략한 한 줄의 메세지를 포함하는 커밋.



git 의 변경사항등 기록 확인

  git log // 커밋 해시 값과 커밋을 수행한 자, 커밋 일시, 커밋시에 추가한 메세지를 확인
  git log --pretty=short // 커밋 해시 값, 커밋을 수행한자, 메세지요약만 확인
  git log FILE_NAME // FILE_NAME에 지정한 해당파일에관한 로그만 출력
  git log -p // 로그 중 변경된 사항만 출력해준다.
  git log --pretty=short -p FILE_NAME // FILE_NAME 이라는 파일의 변경사항만 간략히 표시
    





GitHub 리포지토리 SSH Key설정


GitHub의 리포지토리 접근인증은 SSH공개키를 이용하므로 
GitBash에서 비밀키와 공개키를 생성하고 GitHub에 등록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공개키 생성하기
  ssh-keygen -t rsa -C "USER EMAIL ADDRESS" // 메일주소는 GitHub에 등록한 메일주소

키 파일 저장경로 설정은 기본설정(/User/user_directory/.ssh/id_rsa)을 따르거나 변경한다.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id_rsa라는 비밀키와 id_rsa.pub라는 공개키 파일이 생성된다.

공개키의 내용 확인하기
 cat ~/.ssh/id_rsa.pub

위 명령어로 ssh-rsa .... USER EMAIL ADDRESS 로 끝나는 공개키 값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제 이 값을 GitHub의 [myAccount]-[SSH and GPG keys]에서 [New SSH key]를 이용해서
Title항목에는 자신이 원하는 해당키의 이름을 입력하고 Key항목에는 cat명령어로 확인한
공개키 값을 입력하고 [Add Key]를 눌러 완료한다. 

키 값이 정상적으로 등록됐는지 확인
GitBash에서 다음의 명령어로 GitHub에 접속을 시도한다
  ssh -T git@github.com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RSA key fingerprint 값이 표시되고 
통신을 계속하겠는지 물어오면 yes를 입력한다.

Hi UserName! You've successfully authenticated, but GitHub does not provide shell access.

yes입력후 위와같은 메세지를 확인한다면 정상적으로 키가 등록된 것이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